왕필본 30 (죽간본 4)以道佐人主者不以兵强天下(以道佐人主者不欲以兵强天下)道로 人을 다스리는 主者는 天下를 군사로 강압하지 않는다.더보기※ 佐(좌) : 돕다, 권하다, 다스리다其事好還(-)그 일(兵强天下)은 바로 돌아온다.더보기※ 好(호) : 좋다, 편들다, 끝마치다, 동의하다, 자주, 바로※ 還(환, 선) : 돌아오다, 물러나다, 갚다, 오히려, 빠르다, 즉시師之所處荊棘生焉大軍之後必有凶年(-)師之所處(군대가 머문 자리)에는 荊棘(가시나무)이 그곳에 자라고, 大軍之後에는 반드시 凶年이 있다.더보기※ 荊(형) : 가시나무, 곤장※ 棘(극) : 가시, 야위다, 위급하다, 진열하다善有果而已不敢以取强(善者果而已不以取强)善은 (목적을) 이루면 멈추고, 감히 取强하지 않는다.더보기※ 果(과, 와, 라, 관) : ..
왕필본 29 (죽간본 33)將欲取天下而爲之吾見其不得已(-)장차 天下를 얻길 원하고 그것(取天下)을 하나, 나는 그 얻지 못함을 본다.天下神器不可爲也(-)天下는 神器이니 그리 하는게 不可하다.爲者敗之執者失之(爲之者敗之執之者失之)爲者(얻으려 하는 사람)는 그것을 실패하고 執者(이미 얻은 사람)는 그것을 잃는다.더보기※ 執(집) : 잡다, 관리하다, 두려워하다故物或行或隨或噓或吹或强或羸或挫(載)或隳(-)그러므로 物은 行하거나 隨하고, 噓하거나 吹하거고, 强하거나 羸하거고, 挫하거나 隳한다.더보기※ 行(행) : 다니다, 행하다※ 隨(수, 타) : 따르다, 게으르다※ 噓(허) : 불다, 울다, 거짓말하다※ 吹(취) : 불다, 과장하다, 퍼뜨리다※ 羸(리) : 파리하다, 앓다, 괴로워하다, 가난하다※ 挫(좌) : 꺾..
왕필본 28知其雄守其雌爲天下谿그 雄을 알고 그 雌을 지키면 天下의 谿가 된다.常德不離復歸於嬰兒(그리되면) 항상 德이 不離하여 嬰兒로 復歸한다.知其白守其黑爲天下式그 白을 알고 그 黑을 지키면 天下의 式이 된다.常德不忒復歸於無極(그리되면) 항상 德이 不忒하여 無極으로 復歸한다.知其榮守其辱爲天下谷그 榮을 알고 그 辱을 지키면 天下의 谷이 된다.常德乃足復歸於樸(그리되면) 항상 德이 乃足하여 樸으로 復歸한다.樸散則爲器聖人用之則爲官長樸을 散하면 즉 器가 되는데 聖人은 그것을 이용하여 官長을 한다.故大制不割그러므로 大制는 割하지 않는다.참고문헌 :1. 나무위키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왕필본 27善行無轍迹善言無瑕讁善行은 轍迹(바퀴의 자국)이 없고 善言은 瑕讁(옥돌의 허물)이 없다.더보기※ 轍(철) : 바퀴자국, 흔적, 궤도※ 迹(적) : 자취, 업적, 행적, 관습, 길, 명성, 좇다, 뒤따르다, 살려보다※ 瑕(하) : 허물, 옥의 티, 틈, 두꺼비, 어찌, 멀다※ 讁(적) : 귀양 가다, 꾸짖다, 책망하다, 벌하다, 결점, 재앙, 허물善數不用籌策善數는 籌策(계산에 쓰는 도구)을 쓰지 않는다.더보기※ 籌(주) : 투호살, 꾀, 산가지, 제비, 꾀하다, 징발하다善閉無關楗而不可開善閉는 關楗(빗장)이 없으나 열 수 없다.더보기※ 關(관, 완, 만) : 관계하다, 참여하다, 들어가다, 잠그다, 가로막다, 거칠다, 격다, 찾다, 아뢰다, 시행하다, 빗장, 관문, 당기다※ 楗(건) : 문빗장, 방..
왕필본 26重爲輕根靜爲躁君重은 輕의 뿌리가 되고 靜은 躁의 주인이 된다.더보기※ 躁(조) : 조급하다, 성급하다, 떠들다, 시끄럽다, 거칠다, 교활하다, 마르다, 경솔하다, 어지럽다, 움직이다. 빠르다, 자만하다是以聖人終日行不離輜重이로써 聖人은 終日 걸어도 수레에 무거움을 나누지 않고더보기※ 離(리, 려, 치, 곡) : 떠나다, 떼어놓다, 갈라지다, 흩어지다, 가르다, 늘어놓다, 만나다, 잃다, 지나다, 근심, 붙다※ 輜(치) : 짐수레, 고요함雖有榮觀燕處超然비록 榮觀燕處(화려함을 감상하는 잔치 자리)에 있어도 超然하다.더보기※ 榮(영) : 영화, 영예, 빛, 꽃, 피, 영예롭다, 성하다, 드러나다, 미혹하다, 즐기다, 기리다※ 燕(연) : 제비, 잔치, 향연, 잔치하다, 즐겁게 하다, 편안하다, 예쁘다..
왕필본 25 (죽간본 11)有物混成先天地生(有狀混成先天地生)有物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니 天地가 생기기보다 먼저다.寂兮寥兮獨立不改(寂廖獨立不改)고요하고 텅 비고 홀로 서서 변하지 않는다.더보기※ 寂(적) : 고요하다, 조용하다, 쓸쓸하다, 적막하다, 죽다, 한가롭※ 寥(료) : 쓸쓸하다, 휑하다, 공허하다, 넓다, 드물다, 잠잠하다, 둘러싸다, 교란시키다, 하늘周行以不殆可以爲天下母(可以爲天下母)두루 운행하는 까닭에 위태롭지 않고 天下의 근본이 될 수 있다.吾不知其名强字之曰道强爲之名曰大(未知其名字之曰道吾强爲之名曰大)나는 그 이름을 알지 못해 마지못해 그것을 道라 쓰고 그 이름을 大라 한다. 大曰逝逝曰遠遠曰反(大曰逝逝曰遠遠曰反)大는 逝라 하고 逝는 遠이라 하며 遠은 反이라 한다.더보기※ 逝(서) : 가다, 죽다..
왕필본 24企者不立跨者不行발돋움한 사람은 잘 설 수 없고 뛰듯이 걷는 사람은 멀리 못간다.더보기※ 企(기) : 꾀하다, 도모하다, 발돋움하다, 계획하다, 기대하다, 마음에 두다, 기도하다, 바라다 ※ 跨(과, 고) : 넘다, 올라타다, 차지하다, 물을 건너다, 자리 잡다, 사타구니, 걸터앉다, 걸치다, 웅크리다自見者不明자신을 보이고자 하나 밝지 않고自是者不彰자신이 옳다 하나 드러나지 않고더보기※ 彰(창) : 드러나다, 밝다, 선명하다, 게시하다, 가로막다, 무늬自伐者無功자신을 자랑하나 공이 없고自矜者不長자신을 아끼나 오래 못간다.더보기※ 矜(긍, 근, 관) : 자랑하다, 괴로워하다, 아끼다, 엄숙하다, 공경하다, 삼가다, 숭상하다, 위태하다, 창자루, 앓다其在道曰餘食贅行그것은 道에 있어 남은 음식, 군더..
왕필본 23希言自然말을 아끼면 스스로 그렇게 된다.더보기※ 希(희, 치) : 바라다, 동경하다, 희망하다, 사모하다, 드물다, 적다, 칡베故飄風不終朝驟雨不終日그러므로 (말을 안해도) 飄風(회오리바람)이 아침 내내 불지 않고 驟雨(소나기)가 終日 오지 않는다.더보기※ 飄(표) : 회오리바람, 질풍, 나부끼다, 빠르다, 떨어지다, 흩날리다, 방랑하다 ※ 驟(취) : 달리다, 빠르다, 몰아가다, 갑작스럽다, 자주, 갑자기孰爲此者天地그렇게 되게 하는게 누구냐면 天地다.天地尙不能久而況於人乎天地의 尙도 지속될 수 없는데 하물며 사람은 어떻겠는가.더보기 ※ 況(황) : 상황, 형편, 모양, 하물며, 더욱, 때마침, 곧, 견주다, 비유하다, 추측하다, 주다, 멍하다故從事於道者同於道그러므로 道에 의지해 일을 처리하는 ..
- Total
- Today
- Yesterday
- 아소
- 뽀로로
- 유아동요
- Genuino101
- 까꿍이
- 함덕
- 휴애리
- 민성이
- 제주도
- 에코랜드
- 덴파레
- Android Studio
- 노자
- L293D
- 렌즈
- 한화우림
- 꽃전시회
- 나현이
- 동탄
- 도덕경
- 풍림콘도
- 봄
- shift register
- Arduino101
- 규슈
- 꽃
- Kotlin
- ble
- 중문해수욕장
- 74HC565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