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필본 22曲則全枉則直曲은 즉 全이고 枉은 즉 直이다.더보기※枉(왕) : 굽다, 능멸하다, 누명씌우다, 억울하다, 잘못, 부질없이窪則盈幣則新窪은 즉 盈이고 幣은 즉 新이다.더보기※ 窪(와) : 웅덩이, 맑은 물, 괸 물, 깊다, 낮다※ 幣(폐) : 화폐, 비단, 재물, 떨어지다, 선사하다少則得多則惑少는 즉 得이고 多는 즉 惑이다.더보기※ 惑(혹) : 미혹하다, 의심하다, 번뇌是以聖人抱一爲天下式이렇게 聖人은 하나를 받들어 天下의 법으로 삼는다.不自見故明자신을 드러내지 않아 밝게 하고不自是故彰자신을 인정하지 않아 드러내고더보기※ 彰(창) : 드러나다, 밝다, 선명하다, 게시하다, 가로막다, 무늬不自伐故有功자신을 자랑하지 않아 功이 있고더보기※ 伐(벌) : 치다, 베다, 찌르다, 비평하다, 모순되다, 무너지다..
왕필본 21孔德之容惟道是從孔德之容은 오직 도를 바르게 따르는 것이다.道之爲物惟恍惟惚道는 爲物(사물의 근본)이나 恍하고 惚하다.더보기※ 惟(유) : 생각하다, 늘어세우다, 마땅하다, ~이 되다, 오직, 생각컨대※ 恍(황, 광) : 황홀하다, 멍하다, 어슴푸레하다※ 惚(홀) : 황홀하다, 흐릿하다惚兮恍兮其中有象惚하고 恍하나 그 가운데 象이 있다.恍兮惚兮其中有物恍하고 惚하나 그 가운데 物이 있다.窈兮冥兮其中有精窈하고 冥하나 그 가운데 精이 있다.더보기※ 窈(요) : 고요하다, 그윽하다, 얌전하다, 어둡다, 구석지다, 아름답다, 고상하다※ 冥(명, 면) : 어둡다, 어리석다, 어리다, 그윽하다, 아득하다, 깊숙하다, 어둠, 저승, 하늘, 바다其中甚眞其中有信그 가운데가 매우 진실하여 그 가운데 信이 있다.自古及今..
왕필본 17 (죽간본 30)太上下知有之其次親而譽之(大上下知有之其次親譽之)太上은 아래에서 그것이 있는지만 아는 것이며 그 다음은 그것을 친밀하게 여기고 찬양하는 것이며더보기※ 譽(예) : 기리다, 즐기다, 찬양하다, 바로잡다, 명예, 칭찬其次畏之其次侮之(其次畏之其次侮之)그 다음은 그것을 두려워하는 것이고 그 다음은 그것을 업신여기는 것이다.더보기※ 侮(모) : 업신여기다, 조롱하다, 노비信不足焉有不信焉(女信不足焉有不信)믿음이 부족하면 不信만 있다.悠兮其貴言(猷嘑其貴言也)아득하구나. 그 貴言功成事遂百姓皆謂我自然(成事遂功而百姓曰我自然也)功이 이루어져 일이 끝나면 百姓들은 모두 스스로 그러하다고 말한다.더보기※ 遂(수) : 드디어, 도랑, 이루다, 끝나다, 가다, 오래되다, 멀다, 망설이다, 따르다, 천거하다,..
왕필본 20 (죽간본 23)絶學無憂(絶學無憂)배움을 중단하면 근심이 없다.唯之與阿相去幾何(唯與訶相去幾何)唯(긍정, 순응)와 阿(아첨)은 얼마나 가까이 있는가?더보기※ 唯(유, 수) : 오직, 때문에, 바라건대, 이, 예(공손하게 대답), 생각하다, 누구※ 阿(아, 옥) : 언덕, 물가, 대답하는 소리, 모퉁이, 기슭, 집, 처마, 의지하다, 편들다, 아름답다, 알랑거리다, 한쪽이 높다善之與惡相去若何(美與惡相去何若)善과 惡은 얼마나 같은가?人之所畏不可不畏(人之所畏亦不可以不畏)人之所畏(人이 두려워하는 것)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不可하다.더보기※ 畏 (외) : 두려워하다, 꺼리다, 조심하다, 걱정하다, 죽다, 두려움荒兮其未央哉(-)荒兮(아득)하다. 그것은 央哉(끝, 다함)가 아니다.더보기※ 荒(황) : 거칠..
왕필본 18 (죽간본 30 계속)大道廢有仁義慧智出有大僞(故大道廢焉有仁義)大道가 무너지면 仁義를 알고, 慧智가 나타나면 大僞를 안다.더보기※ 慧(혜) : 슬기롭다, 교활하다, 상쾌하다, 슬기, 지혜, 깨달음※ 僞(위) : 거짓, 잘못, 속이다, 잘못되다, 틀리다, 고치다 六親不和有孝慈國家昏亂有忠臣(六親不和焉有孝慈邦家昏焉有正臣)六親이 不和하면 孝慈를 알고, 國家가 昏亂할 때 忠臣을 안다.더보기※ 慈(자) : 사랑, 인정, 자비, 어머니, 사랑하다※ 昏(혼, 민) : 어둡다, 날이 저물다, 일찍 죽다, 요절하다, 흐리다, 어리석다, 현혹되다, 혼란하다, 경멸하다, 해질녂, 문지기, 힘쓰다왕필본 19 (죽간본 1)絶聖棄智民利百倍(絶智弃辯民利百倍)聖을 끊고 智를 버리면 民의 이로움이 百倍가 된다.더보기※ 聖(성..
왕필본 16 (죽간본 13)致虛極守靜篤(致虛極也守盅篤也)비움에 이르기를 지극히하고, 고요함을 지키기를 돈독히 한다.더보기※ 靜(정) : 고요하다, 깨끗하게 하다, 쉬다, 조용하게 하다, 조용히※ 篤(독) : 도탑다, 단단하다, 살피다, 감독하다, 위중하다, 고생하다, 매우萬物竝作吾以觀復(萬物芳作居以需復也)萬物이 연이어 나타나는 것에서 되돌아감을 본다.夫物芸芸各復歸其根(天道芸芸各復其根)무릇 만물은 무성하게 자라고 각각은 그 뿌리로 돌아간다.더보기※ 芸(운, 예) : 여러해살이풀, 김매다, 재주, 심다歸根曰靜是謂復命(-)歸根을 靜이라 이르고 이를 復命이라 한다.復命曰常知常曰明(-)復命을 常이라 이르고 常을 아는 것을 明이라 이른다.더보기※ 常(상) : 떳떳하다, 영원하다, 일정하다, 평범하다, 항상, 늘, ..
왕필본 15 (죽간본 5)古之善爲士者微妙玄通深不可識(長古之善爲士者必微妙玄造深不可識)옛날 善爲士者는 微妙玄通하여 그 깊이를 알 수 없다.더보기※ 妙(묘) : 묘하다, 예쁘다, 훌륭하다, 젊다, 멀다, 작다 ※ 深(심) : 깊다, 짙다, 심하다, 두텁다, 무성하다, 많다, 중하다, 감추다, 통하다, 높다, 오래되다, 매우, 깊이夫唯不可識故强爲之容豫焉若冬涉川猶兮若畏四隣儼兮其若容(是以爲之容豫乎如冬涉川猶乎其如畏四鄒儼乎其如客)단지 알 수 없으나 고로 그 容을 强爲하자면 조심스러움이 겨울에 개천을 건너는 것과 같고, 마치 사방의 이웃을 조심스러워하는 것 같고, 그 容과 같이 엄숙하다.더보기※ 豫(예) : 미리, 기뻐하다, 편안하다, 즐기다, 놀다, 게으르다, 머뭇거리다, 싫어하다, 참여하다, 속이다, 미리하다, 간..
왕필본 14視之不見名曰夷聽之不聞名曰希搏之不得名曰微주시하지만 볼 수 없는 것을 夷라 부르고, 귀 기울이지만 들을 수 없는 것을 希라 부르고, 잡지만 얻을 수 없는 것을 微라고 한다.더보기※ 夷(이) : 오랑캐, 잘못, 무리, 상하다, 멸하다, 평평하다, 깎다, 온화하다, 오만하다, 기뻐하다, 크다, 걸터앉다, 떳떳하다, 얕잡아보다※ 希(희, 치) : 바라다, 동경하다, 희망하다, 사모하다, 드물다, 성기다, 적다, 칡베※ 微(미) : 작다, 정교하다, 적다, 없다, 어렴풋하다, 어둡다, 쇠하다, 숨다, 엿보다, 다치다, 천하다, 조금, 몰래此三者不可致詰故混而爲ㅡ이 세가지를 致詰할 수 없으니 고로 뒤엉켜 하나가 된다.더보기※ 致(치) : 이르다, 다하다, 이루다, 부르다, 보내다, 그만두다, 주다, 꿰매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덕경
- 74HC565
- 민성이
- 덴파레
- 함덕
- ble
- 유아동요
- L293D
- 한화우림
- 까꿍이
- 휴애리
- 렌즈
- Arduino101
- Android Studio
- 나현이
- 노자
- 뽀로로
- 봄
- Kotlin
- 규슈
- 꽃전시회
- 제주도
- 풍림콘도
- shift register
- 중문해수욕장
- 동탄
- 에코랜드
- 꽃
- 아소
- Genuino101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