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필본 51道生德畜之物形之勢成之道는 만들고, 德은 기르며, 物은 드러내고, 勢는 일으킨다.더보기※ 畜(축, 휵) : 짐승, 쌓다, 제지하다, 기르다, 아끼다, 효도하다是以萬物莫不存道而貴德이로써 萬物은 道를 존중하고, 德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 것이 없다.道之尊德之貴夫莫之命而常自然道를 높이고 德을 귀하게 여기니, 그것은 시켜서가 아니고 항상 스스로 그러하다.故道生之德畜之長之育之亭之毒之養之復之그러므로 道는 만들고 德은 기르며, 키우고, 보살피고, 고르고, 고치고, 가꾸고, 채운다.生而不有爲而不恃長而不宰是謂玄德만드나 가지지 않고, 위하나 의지하지 않으며, 키우나 간섭하지 않으니 이를 玄德이라 한다.참고문헌 :1. 나무위키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왕필본 50出生入死生之徒十有三死之徒十有三出生入死에 있어 生之徒가 열 중 셋이 있고, 死之徒가 열 중 셋이 있다.더보기※ 徒(도) : 무리, 제자, 종, 일꾼, 맨손, 죄수, 형벌, 헛되이, 홀로, 다만, 곁, 걸어다니다民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生에서 民하다 死地로 動하는 것 역시 열 중 셋이 있다.夫何故以其生生之厚어찌 그럴까? 그것이 生之厚로 살아서다.더보기※ 厚(후) : 두텁다, 짙다, 지극하다, 친하다, 많다, 크다, 무겁다, 늘리다, 두께, 부蓋聞善攝生者陸行不遇兕虎入軍不被甲兵善攝生者에게 모두 들어보니 육지를 다녀도 兕虎를 마주치지 않고, 軍에 들어가도 甲兵에 당하지 않는다.더보기※ 蓋(개, 합, 갑) : 덮다, 숭상하다, 뛰어나다, 집을 짓다, 해치다, 뚜껑, 하늘, 대개, 모두, 어찌※ 攝(섭) : 다..
왕필본 49聖人無常心以百姓心爲心聖人은 常心이 없으므로써 百姓의 마음을 爲心한다.善者吾善之不善者吾亦善之德善善者는 나를 善하게 여기고, 不善者도 나를 역시 善하게 여기니, 德善이다.信者吾信之不信者吾亦信之德信信者는 나를 믿고, 不信者도 나를 역시 믿으니, 德信이다.聖人在天下歙歙爲天下渾其心聖人은 歙歙하며 天下를 돌보고, 天下가 그 마음이 渾하도록 爲한다.더보기※ 歙(흡, 협, 섭) : 들이쉬다, 거두다, 줄어들다, 일치하다, 화합하다, 움추리다, 붙잡다※ 渾(혼, 곤) : 흐리다, 뒤섞이다, 온전하다, 멍청하다, 순수하다, 크다, 둥글다, 가지런하다, 흐르다, 떨어지다百姓皆注其耳目聖人皆孩之百姓은 모두 그 耳目을 모으니, 聖人은 모두를 어른다.더보기※ 注(주) : 붓다, 두다, 흐르다, 모으다, 내리다, 적다, ..
왕필본 47不出戶知天下不窺牖見天道밖에 나가지 않아도 天下를 알고, 창을 엿보지 않아도 天道를 본다.더보기※ 戶(호) : 집, 지게, 구멍, 주량, 방, 사람, 막다, 지키다, 주관하다※ 窺(규) : 엿보다, 꾀하다, 반걸음※ 牖(유) : 들창, 깨우치다, 이끌다其出彌遠其知彌少그 외출이 더욱 먼 곳 일수록, 그 깨달음은 더욱 적어진다.더보기※ 彌(미) : 미륵, 두루, 더욱, 멀리, 갓난아이, 오래다, 다하다, 차다, 멀다, 거두다, 깁다, 드리우다, 퍼지다, 걸리다是以聖人不行而知不見而名不爲而成이렇듯 聖人은 行하지 않고 알고, 보지 않고 名하며, 爲하지 않고 이룬다.왕필본 48 (죽간본 22)爲學日益爲道日損(學者日益爲道者日損)배우면 날마다 더하고, 爲道하면 날마다 덜어낸다.損之又損以至於無爲(損之或損以至無爲..
왕필본 46 (죽간본 3)天下有道卻走馬以糞(-)天下에 道가 있으면 糞 때문에 走馬를 물린다. (말이 농사에 쓰인다.)더보기※ 卻(각) : 물리치다, 물러나다, 피하다, 돌아가다※ 糞(분) : 똥, 비료, 쓸다, 제거하다, 치우다, 썩다天下無道戎馬生於郊(-)天下에 道가 없으면 들에서 戎馬가 태어난다. (말이 전쟁에 쓰인다.)더보기※ 戎(융) : 병장기, 군사, 오랑캐, 싸움, 너, 돕다, 크다, 난잡하다※ 郊(교) : 들, 근교, 시골, 메마르다, 교활하다-(罪莫厚乎甚欲)- (甚欲보다 무거운 죄는 없고)더보기※ 厚(후) : 두텁다, 두껍다, 짙다, 진하다, 지극하다, 친하다, 우대하다, 많다, 크다, 무겁다, 늘리다. 낫다, 두께, 부, 두터이 ※ 甚(심) : 심하다, 중하다, 많다, 매우, 참으로, 무엇..
왕필본 45 (죽간본 27)大成若缺其用不敝(大成若缺其用不敝)大成은 부족한 것 같지만, 그 쓰임이 다하지 않는다.더보기※ 缺(결, 기) : 이저러지다, 없다, 부족하다, 비다, 빠트리다, 결함, 머리띠※ 敝(폐, 별) : 해지다, 깨지다, 다하다, 버리다, 황폐하다, 해치다, 가리다, 절뚝거리다大盈若沖其用不窮(大盈若盅其用不窮)大盈은 빈 것 같지만, 그 쓰임이 다하지 않는다.더보기※ 窮(궁) : 다하다, 마치다, 가난하다, 외지다, 작다, 연구하다, 드러나다, 몸, 천막, 크게大直若屈大巧若拙大辯若訥(大巧若拙大成若詘大直若屈)大直은 굽은 것 같고, 大巧는 둔한 것 같고, 大辯은 말을 더듬거리는 것 같다.더보기※ 拙(졸) : 옹졸하다, 둔하다, 질박하다, 서툴다, 불우하다, 쓸모없다, 뒤떨어지다, 욕보이다※ 訥(..
왕필본 43天下之至柔馳騁天下之至堅無有入無間天下의 가장 부드러운 것이 天下의 가장 강한 것을 펴서 바꾸고, 無有한 것이 틈이 없는 곳을 들어간다.더보기※ 馳(치) : 달리다, 전하다, 지나가다, 쫓다, 쏠리다, 방자하다, 베풀다, 바꾸다※ 騁(빙) : 달리다, 펴다, 다하다※ 堅(견) : 굳다, 강하다, 갑옷吾是以知無爲之有益나는 이로써 無爲의 有益을 안다.不言之敎無爲之益天下希及之말없는 가르침과 無爲의 이익, 天下에 그것에 다다름이 드물다.왕필본 44 (죽간본 18)名與身孰親(名與身執親)名과 身에서 어느것이 친한가?身與貨孰多(身與貨執多)身과 貨에서 어느것이 많은가?得與亡孰病(得與亡執病)得과 亡에서 어느것이 병인가?是故甚愛必大費多藏必厚亡(甚愛必大費厚臟必多亡)甚愛(지나치게 아낌)는 반드시 大費(크게 허비)하고,..
왕필본 42道生ㅡㅡ生二二生三三生萬物道는 ㅡ을 낳고, ㅡ은 二를 낳고, 二는 三을 낳고, 三은 萬物을 낳는다.萬物負陰而抱陽沖氣以爲和萬物은 陰을 지고 陽을 안으며, 沖氣로 和를 이룬다.더보기※ 沖(충) : 화하다, 담백하다, 비다, 깊다, 어리다, 오르다, 높이 날다, 꺼리다, 찌르다人之所惡孤寡不穀而王公以爲稱人이 싫어하는 바는 孤, 寡 그리고 不穀인데, 王公을 이로 稱한다.더보기※ 寡(과) : 적다, 없다, 드물다, 외롭다, 홀아비, 주상※ 穀(곡) : 곡식, 녹, 정성, 기르다, 살다, 정성스럽다, 좋다, 길하다, 고하다※ 稱(칭) : 일컫다, 부르다, 칭찬하다, 저울질하다, 드러내다, 들다, 걸맞다, 알맞다, 헤아리다, 좋다, 저울, 명칭, 명성故物或損之而益或益之而損그러므로 物 역시 그것을 줄여도 더해지..
- Total
- Today
- Yesterday
- 유아동요
- 덴파레
- L293D
- 74HC565
- Arduino101
- Android Studio
- 까꿍이
- 한화우림
- Kotlin
- 봄
- 제주도
- 노자
- 휴애리
- 렌즈
- 꽃
- 민성이
- 함덕
- 동탄
- 뽀로로
- 나현이
- Genuino101
- ble
- 도덕경
- 에코랜드
- shift register
- 꽃전시회
- 아소
- 중문해수욕장
- 풍림콘도
- 규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