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필본 67天下皆謂我道大似不肖天下의 모두가 나의 道가 커서 不肖(쇠하지 않음)한 것 같다고 한다.夫惟大故似不肖크므로써 不肖한 것 같다.若肖久矣其細也夫肖한다면 오래되면 그것이 細(보잘 것 없음)하지 않겠는가?我有三寶持而寶之나에게 세가지 보물이 있으니, 그것을 지니고 소중히 여긴다.ㅡ曰慈二曰儉三曰不敢爲天下先하나는 慈이고, 둘은 儉이고, 셋은 不敢爲天下先(감히 天下에 앞서지 않는 것)이다.慈故能勇儉故能廣慈하여 용감할 수 있고, 儉하여 베풀 수 있다.不敢爲天下先故能成器長不敢爲天下先하여 成器長할 수 있다.今捨慈且勇捨儉且廣捨其後且先死矣이제 慈을 버리고 용감하려 하고, 儉을 버리고 베풀려 하며, 그 뒤를 버리고 앞서려 하면 죽음이다.夫慈以戰則勝以守則固慈로써 싸우면 이기고, 지키면 견고해진다.天將救之以慈衛之天이 장차 ..
왕필본 66 (죽간본 2)江海所以能爲百谷王者以其善下之(江海所以爲百谷王以其能爲百谷下)江海가 百谷의 王이 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그 아래에 있어서이다.故能爲百谷王(是以能爲百谷王)그러므로 百谷의 王이 될 수 있다.是以聖人欲上人必以言下之(聖人之在民前也以身後之)이로써 聖人이 人의 위이고자 하면 반드시 말(言)을 그 아래 둔다.欲先人必以身後之(其在民上也以言下之)人을 앞서고자 하면 반드시 몸을 그 뒤에 둔다.是以聖人處上而人不重處前而人不害(其在民上也民弗厚也其在民前也民弗害也)이로써 聖人이 위에 있으나 人이 무거워하지 않고, 앞에 있으나 해로워하지 않는다.是以天下樂推而不厭(天下樂推而弗厭)이로써 天下는 추대를 기뻐하지 싫어하지 않는다.以其不爭故天下莫能與之爭(以其不爭也故天下莫能與之爭)그 不爭으로, 天下는 그와 더불어 싸울..
왕필본 65古之善爲道者非以明民將以愚之옛부터 道를 善爲하는 것은 民을 깨우침으로써가 아니라 그들을 우직하게 함으로써다.民之難治以其智多民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그 智가 많음으로써다.故以智治國國之賊不以智治國國之福그러므로 以智治國(智로 나라를 다스림)하면 나라의 賊이고, 以智治國을 않으면 나라의 福이다.知此兩者亦楷式이 두가지를 아는 것 역시 楷式이다.더보기※ 楷(해) : 본보기, 바르다, 본받다常知楷式是謂玄德항상 楷式을 아는 것을 일러 玄德이라 한다.玄德深矣遠矣與物反矣然後乃至大順玄德은 깊고, 멀고, 物의 반대이니 그러한 뒤에 大順에 이른다.참고문헌 :1. 나무위키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왕필본 64 (죽간본 14)其安易持其未兆易謀(其安也易持也其未兆也易謀也)안정된 것은 지니기 쉽고, 未兆는 속이기 쉽다.其脆易泮其微易散(其腕也易判也其微也易散也)연한 것은 녹기 쉽고, 작은 것은 흩어지기 쉽다.더보기※ 脆(취) : 연하다, 가볍다, 무르다, 부드럽다※ 泮(반) : 물가, 녹다, 풀리다※ 散(산) : 흩어지다, 한가롭다, 달아나다, 절죽이다, 나누어 주다, 뒤섞이다, 쓸모없다, 어둡다, 여가爲之於未有治之於未亂(爲之於其無有也治之於其未亂)있지 않을 때 그것을 하고, 혼란하지 않을 때 그것을 다스린다.合泡之木生於毫末九層之臺起於累土(合抱之木生於毫未九層之臺起於累土)合泡之木도 털 끝에서 자라고, 九層之臺도 累土부터 일으킨다.千里之行始於足下(千里之行始於足下)千里之行도 발 밑에서 시작한다.(죽간본 6)爲者敗之..
왕필본 63 (죽간본 8)爲無爲事無事味無味(爲無爲事無事味無味)無爲를 하고, 無事를 일하고, 無味를 맛봐라.大小多少報怨以德(大小之多易必多難)크던 작던 많던 적던 德으로 報怨하라.圖難於其易爲大於其細(-)어려운 것을 그리려면 쉬운 부분부터 하고, 큰 일은 세밀한 부분부터 하라.天下難事必作於易(-)天下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것으로 부터 시작된다.天下大事必作於細(-)天下의 큰 일은 반드시 세세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是以聖人終不爲大故能成其大(-)이로써 聖人은 끝내 큰 일을 하지 않으므로, 그 큰 일을 이룰 수 있다.夫輕諾必寡信多易必多難(-)허락을 쉽게 하면 반드시 믿음이 적게 되고, 쉽게 많아지면 반드시 어려움도 많아진다.더보기※ 諾(낙) : 허락하다, 대답하다, 동의하다, 따르다, 허락, 승락※ 寡(과) : ..
왕필본 62道者萬物之奧道는 萬物之奧다.더보기※ 奧(오, 욱) : 깊다, 더러워지다, 쌓다, 돼지우리, 주인, 아랫목, 따뜻하다, 덥다, 절이다, 물굽이善人之寶不善人之所保善人의 보배이며 善人이 아니어도 보전하는 것이다.더보기※ 寶(보) : 보배, 돈美言可以市尊行可以加人아름다운 말은 저자에 돌고, 존중의 행동은 사람들에게 가해질 수 있다.人之不善何棄之有사람은 不善한데 어찌 그 존재(不善)를 버릴까?故立天子置三公그러므로 天子를 세우고 三公을 두었다.雖有拱璧以先駟馬不如坐進此道비록 옥을 지니고 사두마차를 앞세우더라도, 앉아서 이 道를 올리는 것만 못하다.더보기※ 拱(보) : 팔짱을 끼다, 마주 잡다, 떠밀다, 휘다, 큰 구슬, 옷감※ 璧(벽) : 구슬, 주름, 쌓다, 되돌려주다※ 駟(사) : 사마, 사마의 수레,..
왕필본 61大國者下流大國은 下流다.天下之交天下之牝天下之交고, 天下之牝다.牝常以靜勝牡以靜爲下牝은 항상 靜으로 牡를 이기고, 靜을 下로 여긴다.故大國以下小國則取小國그러므로 大國으로써 小國의 아래에 있는 것이 즉 小國을 얻는 것이다.小國以下大國則取大國小國으로써 大國의 아래에 있는 것이 즉 大國을 얻는 것이다.故或下以取或下而取그러므로 (大國은) 아래에 있음으로 얻는 것이고, (小國은) 아래이기에 얻는다.大國不過欲兼畜人大國이 人을 兼畜하는 것이 過欲이 아니다.더보기※ 兼(겸) : 겸하다, 둘러싸다, 포용하다, 얻다, 쌓다, 나란히하다, 합치다, 아울러, 마찬가지小國不過欲入事人小國이 人을 入事하는 것이 過欲이 아니다.夫兩者各得其所欲故大者宜爲下양쪽이 각각 그 원하는 바를 얻으니 大가 마땅히 아래가 돼야 한다.더보기※..
왕필본 60治大國若烹小鮮大國을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요리하는 듯하다.以道莅天下其鬼不神道로 天下를 다스리니 其鬼不神(귀신이 신기한 힘이 없음)한다.더보기※ 莅(리) : 임하다, 참가하다, 다스리다, 집행하다非其鬼不神其神不傷人其鬼不神이면 其神不傷人(그 힘이 사람을 다치게 하지 않음)하지 않은가.非其神不傷人聖人亦不傷人其神不傷人이면 聖人 또한 不傷人하지 않은가.夫兩不相傷故德交歸焉양쪽이 서로 傷하지 않으니 德은 서로 그것에게 돌아간다.참고문헌 :1. 나무위키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 Total
- Today
- Yesterday
- 풍림콘도
- 동탄
- 노자
- 중문해수욕장
- ble
- 74HC565
- 도덕경
- 봄
- 에코랜드
- Kotlin
- 아소
- 규슈
- 함덕
- 꽃전시회
- 덴파레
- Genuino101
- Android Studio
- Arduino101
- 제주도
- 뽀로로
- 렌즈
- 휴애리
- 꽃
- L293D
- 민성이
- 한화우림
- 까꿍이
- 유아동요
- shift register
- 나현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