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필본 60治大國若烹小鮮大國을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요리하는 듯하다.以道莅天下其鬼不神道로 天下를 다스리니 其鬼不神(귀신이 신기한 힘이 없음)한다.더보기※ 莅(리) : 임하다, 참가하다, 다스리다, 집행하다非其鬼不神其神不傷人其鬼不神이면 其神不傷人(그 힘이 사람을 다치게 하지 않음)하지 않은가.非其神不傷人聖人亦不傷人其神不傷人이면 聖人 또한 不傷人하지 않은가.夫兩不相傷故德交歸焉양쪽이 서로 傷하지 않으니 德은 서로 그것에게 돌아간다.참고문헌 :1. 나무위키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왕필본 59 (죽간본 21)治人事天莫如嗇(治人事天莫若嗇)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것에는 嗇만한 것이 없다.더보기※ 嗇(색) : 아끼다, 줄이다, 탐내다, 막히다, 거두다, 젊다, 농사夫惟嗇是謂早服(夫唯嗇是以早)오직 嗇이니 이를 早服이라 이른다.早服謂之重積德(是以早備是謂)早服은 重積德(덕을 거듭 쌓는 것)을 이른다.重積德則無不克(不克)重積德은 즉 無不克(이기지 못함이 없는 것)이다.無不克則莫知其極(不則莫知其極)無不克은 즉 莫知其極(그 極을 알지 못함)이다.莫知其極可以有國(莫知其極可以有國)莫知其極하면 나라를 가질만 하다 .有國之母可以長久(有國之母可以長)有國之母면 長久할 만 하다.是謂深根固柢長生久視之道(長生久視之道也)이를 일러 깊은 뿌리가 단단히 뻗어 長生하고 오래 보는 道라 한다.참고문헌 :1. 나무위..
왕필본 58其政悶悶其民醇醇그 다스림이 悶悶한데 그 民은 醇醇한다.더보기※ 悶(민) : 답답하다, 어둡다, 번민하다, 민망하다, 뒤섞이다※ 醇(순) : 진한 술, 진하다, 순수하다, 도탑다, 질박하다其政察察其民缺缺그 다스림이 察察한데 그 民은 缺缺한다.더보기※ 察(찰) : 살피다, 조사하다, 드러나다, 깨끗하다, 밀다※ 缺(결, 기) : 이지러지다, 없다, 부족하다, 비다, 빠트리다, 결함, 머리띠禍兮福之所倚福兮禍之所伏禍는 福이 의지하는 것이고, 福은 禍가 굴복하는 것이다.더보기※ 倚(의, 기) : 의지하다, 기대다, 치우치다, 맡기다, 믿다※ 伏(복, 부) : 엎드리다, 굴복하다, 숨다, 살피다, 내려가다, 안다, 품다孰知其極其無正누가 그 極을 알까? 그것은 정해지지 않는다.正復爲奇善復爲妖民之迷其日固久正..
왕필본 57 (죽간본 16)以正治國以奇用兵無事取天下(以正治邦以奇用兵以無事取天下)正으로 治國하고, 奇로 用兵하고, 無事로 天下를 取한다.吾何以知其然乎以此(吾何以知其然也)나는 어떻게 그러한 것을 알까? 이로 인해서다.天下多忌諱而民彌貧(夫天多忌諱而民彌貧)天下에 忌諱이 많아지면 民이 두루 가난해진다.더보기※ 忌(기) : 꺼리다, 질투하다, 미워하다, 원망하다, 경계하다, 공경하다, 기일, 생각※ 諱(휘) : 숨기다, 꺼리다, 두려워하다, 제삿날民多利器國家滋昏(民多利器而邦滋昏)民에 利器가 많으면 國家에 혼란이 커진다.더보기※ 滋(자) : 증가하다, 번식하다, 자라다, 많다, 심다, 여물다, 사랑하다, 윤기 있다, 맛있다, 흐리다, 진, 더욱人多技巧奇物滋起(人多知而奇物滋起)사람들에게 技巧가 많으면 奇物이 더욱 늘어..
왕필본 56 (죽간본 15)知者不言言者不知(知之者弗言言之者弗知)알면 말하지 않고, 말하는 것은 알지 못하는 것이다.塞其兌閉其門挫其銳解其紛(戒其悅寶其門和其求迵其訴)구멍을 막고, 문을 잠그고, 날카로움을 꺽고, 엉킴을 푼다.和其光同其塵是謂玄同(解其紛是謂玄同)빛과 조화되고, 티끌을 모으니, 이를 玄同이라 한다.故不可得而親不可得而疏(故不可得而親亦不可得而疏)그리하여 얻을 수 없어 親이고, 疏다.不可得而利不可得而害(不可得而利亦不可得而害)얻을 수 없어 利고, 害다.不可得而貴不可得而賤(不可得而貴亦不可得而賤)얻을 수 없어 貴고, 賤이다.故爲天下貴(故爲天下貴)그러므로 天下의 귀한 것이 된다.참고문헌 :1. 나무위키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왕필본 55 (죽간본 17)含德之厚比於赤子(含德之厚者比於赤子)含德의 두터움은 赤子(갓난아기)에 비교된다.더보기※ 含(함) : 머금다, 참다, 억누르다, 띠다毒蟲不螫猛獸不據攫鳥不博(蜂䘍蟲蛇弗螫攫鳥猛獸弗拍)毒蟲이 쏘지 않고, 猛獸가 할퀴지 않고, 攫鳥가 채가지 않는다.더보기※ 螫(석) : 쏘다, 성내다, 독※ 獸(수) : 짐승, 가축, 야만, 하류, 짐승같은, 사냥하다※ 據(거, 극) : 근거, 근원, 의지하다, 삼다, 막아지키다, 누르다, 살다, 할퀴다※ 攫(확) : 움키다, 빼앗다, 당기다骨弱筋柔而握固(骨弱筋柔而提固)(赤子는) 骨이 약하고, 筋은 부드럽지만, 굳건하게 쥔다.더보기※ 筋(근) : 힘줄, 살, 섬유질, 정맥, 힘※ 握(악) : 쥐다, 손잡이, 주먹, 휘장, 장막未知牝牡之合而全作精之至也(未知牝..
왕필본 54善建者不拔善抱者不脫子孫以祭祀不輟잘 지어진 것은 不拔하고, 잘 감싼 것은 不脫하고, 子孫은 祭祀를 不輟한다.더보기※ 拔(발) : 뽑다, 공략하다, 빼어나다, 덜어버리다, 기울다, 흩어지다, 빠르다, 가리다, 머무르다, 쥐다, 그리다, 빨리, 무성하다※ 祀(사) : 제사, 해, 대※ 輟(철) : 그치다, 버리다, 깁다修之於身其德乃眞修之於家其德乃餘그것을 身에 닦아 그 德이 참되고, 그것을 家에 닦아 그 德이 남는다.修之於鄕其德乃長修之於國其德乃豊그것을 鄕에 닦아 그 德이 오래되고, 그것을 國에 닦아 그 德이 넉넉하다.修之於天下其德乃普그것을 天下에 닦아 그 德이 普하다.더보기※ 普(보) : 넓다, 두루 미치다, 널리故以身觀身以家觀家以鄕觀鄕以天下觀天下그리하여 身으로 身을 보고, 家로 家를 보고, 鄕으로 ..
왕필본 53使我介然有知行於大道惟施是畏가령 나에게 介然의 知가 있으면 大道를 통해 行하지만, 바르지 않은 것을 생각하는 것을 두려워한다.大道甚夷而民好徑大道는 甚夷하나, 民은 샛길을 좋아한다.더보기※ 甚(심) : 심하다, 중하다, 많다, 매우, 참으로※ 夷(이) : 오랑캐, 잘못, 무리, 상하다, 다치다, 평탄하다, 깎다, 온화하다, 오만하다, 기뻐하다, 크다, 떳떳하다朝甚除田甚蕪倉甚虛服文綵帶利劍朝(나라 살림)은 심하게 탕진하고 밭은 매우 황폐한데, 화려한 옷을 입고 날선 칼을 차는구나.더보기※ 除(제) : 덜다, 면제하다, 버리다, 제외하다, 나누다, 임명하다, 다스리다, 지나가다, 치료하다※ 蕪(무) : 거칠다, 어지럽다, 달아나다, 번거롭다, 황무지厭飮食財貨有餘是謂盜夸非道也哉물리게 먹고 재화는 여유가 ..
- Total
- Today
- Yesterday
- 봄
- ble
- 꽃전시회
- 렌즈
- 덴파레
- L293D
- Genuino101
- 함덕
- Android Studio
- 나현이
- 동탄
- 민성이
- 74HC565
- 휴애리
- 꽃
- Kotlin
- 제주도
- 아소
- 한화우림
- 에코랜드
- 중문해수욕장
- 뽀로로
- Arduino101
- 규슈
- 도덕경
- 풍림콘도
- 까꿍이
- shift register
- 노자
- 유아동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