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왕필본 58
其政悶悶其民醇醇
그 다스림이 悶悶한데 그 民은 醇醇한다.
더보기
※ 悶(민) : 답답하다, 어둡다, 번민하다, 민망하다, 뒤섞이다
※ 醇(순) : 진한 술, 진하다, 순수하다, 도탑다, 질박하다
其政察察其民缺缺
그 다스림이 察察한데 그 民은 缺缺한다.
더보기
※ 察(찰) : 살피다, 조사하다, 드러나다, 깨끗하다, 밀다
※ 缺(결, 기) : 이지러지다, 없다, 부족하다, 비다, 빠트리다, 결함, 머리띠
禍兮福之所倚福兮禍之所伏
禍는 福이 의지하는 것이고, 福은 禍가 굴복하는 것이다.
더보기
※ 倚(의, 기) : 의지하다, 기대다, 치우치다, 맡기다, 믿다
※ 伏(복, 부) : 엎드리다, 굴복하다, 숨다, 살피다, 내려가다, 안다, 품다
孰知其極其無正
누가 그 極을 알까? 그것은 정해지지 않는다.
正復爲奇善復爲妖民之迷其日固久
正은 다시 奇가 되고 善은 다시 妖가 되니, 民이 미혹되고 그 날이 이미 오래됐다.
是以聖人方而不割廉而不劌
그래서 聖人은 方(올바름, 모서리의 重義)하나 不割하며, 廉(청렴, 날카로움의 重義)하나 不劌하다.
더보기
※ 劌(귀, 궤) : 상처입히다, 쪼개다, 만나다, 어리석다, 가시
直而不肆光而不耀
곧으나 不肆(찌르지 않음)하며, 빛나나 不耀(눈부시지 않음)한다.
더보기
※ 肆(사, 이, 척) : 방자하다, 진열하다, 늦추다, 시험하다, 곧다, 찌르다, 버리다, 쥐다, 뚜렷하다, 나머지, 뼈를 발라내다
참고문헌 :
1. 나무위키
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
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낙서장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 治大國若烹小鮮 (0) | 2025.04.12 |
---|---|
[59 (21)] 治人事天莫如嗇 (0) | 2025.04.11 |
[57 (16)] 以正治國以奇用兵無事取天下 (0) | 2025.04.10 |
[56 (15)] 知者不言言者不知 (0) | 2025.04.09 |
[55 (17)] 含德之厚比於赤子 (0) | 2025.04.08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ble
- Android Studio
- 74HC565
- 풍림콘도
- 까꿍이
- 민성이
- 렌즈
- 꽃전시회
- 함덕
- 뽀로로
- Kotlin
- 에코랜드
- 제주도
- 노자
- 꽃
- 덴파레
- 나현이
- shift register
- 유아동요
- 동탄
- 한화우림
- 도덕경
- Genuino101
- 휴애리
- Arduino101
- 규슈
- 중문해수욕장
- 봄
- 아소
- L293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