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왕필본 78
天下柔弱莫過於水而攻堅强者莫之能勝
天下의 柔弱한 것이 물보다 더한 것이 없지만, 단단한 것을 뚫는 것도 물을 능히 이길 것이 없다.
其無以易之
그것은 가벼이 봄이 없어서다.
弱之勝强柔之勝剛天下莫不知莫能行
弱이 强을 이기고, 柔가 剛을 이기니, 天下가 다 알지만 능히 行하지 못한다.
故聖人云受國之垢是謂社稷主受國之不祥是謂天下王
그래서 聖人은 나라의 나쁜 것을 받는 것을 社稷의 주인이라 이르고, 나라의 不祥한 것을 받는 것을 天下의 왕이라 한다.
더보기
※ 垢(구) : 때, 수치, 더럽다, 나쁘다
※ 稷(직, 측) : 피, 곡신, 빠르다, 삼가다, 기울다
正言若反
바른 말은 반대되는 것 같다.
왕필본 79
和大怨必有鈴怨
大怨은 화해해도 반드시 남는 怨이 있다.
安可以爲善
어찌 잘하였다고 여길 수 있을까?
是以聖人執左契而不責於人
이로써 聖人은 증거가 있어도 책망하지 않는다.
有德司契無德司徹
有德은 契를 맡고, 無德은 徹을 맡는다.
天道無親常與善人
하늘의 道는 친함은 없지만, 항상 좋은 사람과 함께 한다.
참고문헌 :
1. 나무위키
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
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
'낙서장 > 도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 81] 小國寡民 (0) | 2025.04.28 |
---|---|
[77] 天之道其猶張弓乎 (0) | 2025.04.27 |
[75, 76] 民之饑以其上食稅之多是以饑 (0) | 2025.04.26 |
[74] 民不畏死奈何以死懼之 (0) | 2025.04.25 |
[73] 勇於敢則殺勇於不敢則活 (0) | 2025.04.24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Genuino101
- 함덕
- 규슈
- 아소
- 덴파레
- 제주도
- 휴애리
- Arduino101
- L293D
- 동탄
- 풍림콘도
- Kotlin
- 에코랜드
- 도덕경
- 유아동요
- 노자
- 나현이
- Android Studio
- 중문해수욕장
- ble
- 뽀로로
- 봄
- 민성이
- 꽃전시회
- 까꿍이
- 74HC565
- shift register
- 렌즈
- 꽃
- 한화우림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