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도덕경
[63 (8)] 爲無爲事無事味無味
watering
2025. 4. 16. 13:32
왕필본 63 (죽간본 8)
爲無爲事無事味無味
(爲無爲事無事味無味)
無爲를 하고, 無事를 일하고, 無味를 맛봐라.
大小多少報怨以德
(大小之多易必多難)
크던 작던 많던 적던 德으로 報怨하라.
圖難於其易爲大於其細
(-)
어려운 것을 그리려면 쉬운 부분부터 하고, 큰 일은 세밀한 부분부터 하라.
天下難事必作於易
(-)
天下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것으로 부터 시작된다.
天下大事必作於細
(-)
天下의 큰 일은 반드시 세세한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是以聖人終不爲大故能成其大
(-)
이로써 聖人은 끝내 큰 일을 하지 않으므로, 그 큰 일을 이룰 수 있다.
夫輕諾必寡信多易必多難
(-)
허락을 쉽게 하면 반드시 믿음이 적게 되고, 쉬운 것이 많아지면 반드시 어려움도 많아진다.
더보기
※ 諾(낙) : 허락하다, 대답하다, 동의하다, 따르다, 허락, 승락
※ 寡(과) : 적다, 작다, 없다, 외롭다, 홀아비
是以聖人猶難之故終無難矣
(是以聖人猶難之故終無難)
이로써 聖人은 오히려 그것을 어려워하여 끝내 어려움이 없다.
더보기
※ 猶(유, 요) : 오히려, 다만, 이미, 크게, 그대로, 마땅히, 원숭이, 허물, 망설이다, 말미암다, 같다, 그리다, 움직이다
참고문헌 :
1. 나무위키
2. [노자](이석명 역주, 민음사)
3. [한자 원리와 개념으로 풀이한 노자 도덕경](임헌규 편저, 파라아카데미)